The Han River, which flows through the heart of Seoul, is more than just a river—it is a lifeline that carries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Over the centuries, the Han River has remained at the center of Seoul, undergoing countless changes and becoming deeply intertwined with the lives of its citizens. In this post, I’d like to explore some of the major historical events related to the Han River and their impact and significance for the people of Seoul.
1. 한강의 역사적 배경
한강은 삼국시대부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습니다.
백제를 건국한 온조왕은 위례성을 수도로 정했습니다. 이후 위례성은 '큰 성'이라는 의미로 한성(漢城) 또는 대성(大城)이라고도 불렸으며, 왕이 거주하는 곳이라 하여 왕성(王城)이라고도 했습니다.
백제는 고구려의 공격으로 인해 475년에 수도를 공주(웅진)로 옮길 때까지 약 500년 동안 한성을 수도로 유지했습니다. 현재의 서울, 특히 송파구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일대가 당시 백제의 왕성이었던 한성으로 유력하게 추정되고 있습니다.
백제의 한성(지금의 서울)이 도읍지였던 이유도 바로 한강 덕분입니다. 물자 수송, 외국과의 교류, 방어의 용이함 등 한강은 당시의 국제 무역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선시대에는 한강을 통해 쌀과 생필품이 서울로 들어오면서 ‘경강상인’이라는 상업 세력이 등장하기도 했죠. 또한, 한강을 이용한 나루터가 발전하면서 서울은 전국 각지와 연결되는 교통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과거의 한강은 식수, 농업용수, 운송 수단으로 활용되며 서울의 생명줄 역할을 했습니다.
2. 한강의 기본 정보
한강은 총길이 약 514km에 달하며, 강원도 태백시의 검룡소에서 발원합니다. 한강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양평 부근에서 합류하면서 본격적인 수량을 이룹니다. [합류지점을 '두물머리'라고 합니다]
서울 시내에는 한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총 33개(2024년 기준) 있으며, 현재 한강은 레저와 문화 공간으로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이 즐겨 찾는 한강공원에서는 자전거 타기, 피크닉, 야외 콘서트, 캠핑 등이 이뤄지며, 여름철엔 한강 수영장도 운영됩니다. 환경정화 사업 이후 생태계도 많이 복원되어 백로, 왜가리, 수달 등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공간이 되었습니다.
특히 반포대교의 분수쇼와 세빛섬은 서울의 대표적인 야경거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한강은 서울의 지역적 특성과 생활을 나누고도 있습니다. 서울을 '북쪽(강북)과 남쪽(강남)'으로 나누는 지리적 기준이 됩니다. 전통적으로 강북은 서울의 역사와 행정 중심지(종로, 중구, 성북 등)가 위치한 반면, 강남은 1970년대 이후 개발되어 경제적·교육적 중심지(강남, 서초, 송파 등)로 성장해 왔습니다.
한강을 중심으로 생활 방식도 달라졌습니다. 강북은 오랜 주거지와 전통시장이 많고, 강남은 신도시와 아파트 단지가 많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양쪽 모두 한강 조망권을 중심으로 고급 주거지와 공원, 문화시설이 조성되면서 격차가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3. 한강과 관련된 주요 사건들
[1950년 한강 인도교 폭파 사건]
- 일시: 1950년 6월 28일 새벽
- 배경: 6·25 전쟁 발발 후 북한군이 서울에 접근하자, 북한군의 남하 지연을 위해서 국군은 한강 인도교를 폭파함.
- 피해: 민간인 대피 명령 없이 폭파되어 약 800~1,000명의 사망자 발생.
- 의미: 민간인 보호 체계 미비와 비극적 판단으로 역사에 남은 사건으로 전쟁이 서울과 한강에 미친 영향을 상징하는 사례임.
[성수대교 붕괴 사건] (1994년)
- 배경: 아침 출근길 붕괴, 32명 사망
- 원인: 부실시공, 점검 소홀
- 의미 :한국 사회의 ‘안전 불감증’에 대한 각성과 이후 건설 기준·점검 체계 전면 재정비의 시발점이 됨.
[잠수교 루머] (1995년)
- 배경: 잠수교(반포대교 하층교) 붕괴 소문으로 교통마비
- 원인: 삼풍백화점 사고 이후 서울시민 불안 폭발
- 의미:실제 사고는 없었지만, 대중심리와 공포가 도시를 휩쓴 사례로 재난 이후 ‘정보 신뢰’와 ‘사회적 불안’의 교차점이 됨.
[한강 범람과 대홍수] (1984년 / 2010년)
- 배경:1984년: 도로·주택 침수, 도시 기능 마비//2010년: 반포 일대 침수, 한강공원 폐쇄됨.
- 원인:반복되는 침수 피해와 도시 기반 붕괴
- 의미 :물과 공존하는 도시, 기후 변화에 대비하는 서울의 미래를 생각하는 계기가 됨
[헬기 추락 사고] (2013년)
- 배경:삼성동 고층 아파트에 헬기 충돌
- 원인 :한강 인근을 비행하던 경로에서 발생
- 의미 :서울 도심 항공 안전과 한강변 비행 통제 문제를 조명할 기회를 제공하게 됨.
한강은 단순히 흘러가는 강이 아닙니다. 수많은 사건이 모여 서울의 현재를 만들었습니다. 우리는 무엇을 기억하고,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라는 생각을 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If translation is needed, please click the Google Translate button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article, select your desired language, and thank you for reading my writing.
'서울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que Korean Heritage: Rank Stones[품계석] (2) | 2025.04.28 |
---|---|
A Taste of Seoul: Exploring Markets and Must-Try Korean Foods (8) | 2025.04.26 |
Have You Heard of the Palace Within a Palace?[건청궁] (0) | 2025.04.24 |
Seoul's Relaxation Spot:Cheonggye Plaza[청계광장] (4) | 2025.04.15 |
Seoul[Hanyang]'s Veiled Entrances [4소문] (0) | 2025.04.05 |